CS 공부

Web과 WAS! 본문

CS공부/기타 이론들

Web과 WAS!

kluiop1 2021. 7. 12. 02:43

Static Pages

Web Server는 파일 경로 이름을 받아 경로와 일치하는 file contents를 반환한다.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
Ex) image, html, css, javascript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Dynamic Pages

인자의 내용에 맞게 동적인 contents를 반환한다.
즉, 웹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만들어진 결과물 * Servlet: WAS 위에서 돌아가는 Java Program
개발자는 Servlet에 doGet()을 구현한다.

Web Server

Web Server의 개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분된다.


1) 하드웨어
Web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2) 소프트웨어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html .jpeg .css 등)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Web Server의 기능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의 요청을 서비스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요청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기능 중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한다.

 

기능 1)
정적인 컨텐츠 제공
WAS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자원을 제공한다.

 

기능 2)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올 때 가장 앞에서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고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하는 역할 (정적 데이터)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 전달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WAS에 보내고, WAS가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응답, Response)한다.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의미한다.

 

CASE

정적 컨텐츠를 요청(request)했나?

1. 정적 컨텐츠구나! 내가 제공해줄게 => .html, .png 등 응답(response)

2. 정적 컨텐츠가 아니구나.. 웹서버에서 간단히 처리 못하겠군. WAS에게 처리를 부탁해야겠다! => 결국 WAS가 처리해준 컨텐츠를 받은 웹서버는 응답(response)을 해줌


Web Server의 예
Ex) Apache Server, Nginx, IIS(Windows 전용 Web 서버) 등

 

 

 

 

WAS(Web Application Server)

WAS의 개념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 서버 (DB조회, 다양한 로직처리가 요구되는 컨텐츠)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이다.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 혹은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라고도 불린다.

*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 컨테이너
Container란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즉, WAS는 JSP, Servlet 구동 환경을 제공한다.

 


WAS의 역할


WAS = Web Server + Web Container
Web Server 기능들을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분산 트랜잭션, 보안, 메시징, 쓰레드 처리 등의 기능을 처리하는 분산 환경에서 사용된다.
주로 DB 서버와 같이 수행된다.
현재는 WAS가 가지고 있는 Web Server도 정적인 컨텐츠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성능상 큰 차이가 없다.
WAS의 주요 기능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DB 접속 기능 제공
여러 개의 트랜잭션(논리적인 작업 단위) 관리 기능
업무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 수행

 

동작 프로세스

1. 웹서버로부터 요청이 오면 컨테이너가 받아서 처리

2. 컨테이너는 web.xml을 참조하여 해당 서블릿에 대한 쓰레드 생성하고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3. 컨테이너는 서블릿을 호출한다.

4. 호출된 서블릿의 작업을 담당하게 된 쓰레드(2번에서 만든 쓰레드)는 doPost()또는 doGet()을 호출한다.

5. 호출된 doPost(), doGet() 메소드는 생성된 동적 페이지를 Response객체에 담아 컨테이너에 전달한다.

6. 컨테이너는 전달받은 Response객체를 HTTPResponse형태로 바꿔 웹서버에 전달하고 생성되었던 쓰레드를 종료하고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소멸시킨다.


WAS의 예
Ex) Tomcat, JBoss, Jeus, Web Sphere 등

 

WAS와 웹 서버 차이

- 동적 컨텐츠 처리를 수행 가능한가 아닌가.

WAS는 정적,동적 처리 둘다 가능하지만 정적처리를 WAS가 하게되면 부하가 많이 걸려서 좋지 않음

 

* 톰캣(WAS)에는 아파치(웹서버)의 기능(웹서비스데몬, Httpd)를 포함하고 있다.

- 일반적인 WAS, Web Server 구조가 아닌 걸로 알고 있음.

 

* WAS, Web Server를 따로 두고 쓰는 이유가 성능때문이라고 하는 건 잘못되었다.

톰캣5.5 이상부터는 httpd의 native모듈을 사용해서 정적파일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것이 순수 아파치 Httpd만 사용하는 것과 비교해서 성능이 전혀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톰캣앞에 아파치를 두는 이유는 하나의 서버에서 php애플리케이션과 java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사용하거나, httpd 서버를 간단한 로드밸런싱을 위해서 사용해야 할 때 필요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