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공부/컴퓨터 구조 (6)
CS 공부
Processor란? (Advanced RISC Machine 또는 Acorn RISC Machine) 일반적으로 프로세서(Processor, ARM 프로세서 포함)란, 이론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유한 상태 오토마톤(Finite-State Automaton)을 의미한다. 시스템의 상태는 프로세서에 있는 레지스터의 값들과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명령어는 이들의 상태 변화를 정의하며 또한 다음번에 실행될 명령어를 결정한다. ARM의 구조의 특징 - ARM은 칩의 기본 설계 구조만 만들고, 실제 기능 추가와 최적화 부분은 개별 반도체 제조사의 영역으로 맡긴다. 따라서 물리적 설계는 같아도, 명령 집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칩이 되기도 하는 것이 ARM. -..

1) 패리티 비트 정보전달 과정에서 오류 발생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추가된 비트를 말한다. 1의 개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체크하기 위해 추가되는 비트. 1Bit로 오류 검출 가능. 그러나 여러 비트에서 동시에 오류가 발생하면 검출 불가능 패리티 비트는 홀수(odd) 패리티 비트와 짝수(even) 패리티 비트로 분류한다. - 전달하고자 하는 DATA의 1의 개수로 홀수와 짝수를 구분합니다. - 짝수패리티의 경우 0을 붙여주고, 홀수 패리티인 경우 1을 붙여줍니다. 2) 해밍 코드 해밍 코드란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 2bit의 오류 검출해서 1bit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및 수정 부호 즉 데이터비트에 여러 개의 패리티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코드. 오류의 검출은 물론 스스로..
(모든 예시는 32bit로 가정 하고 정리) 고정 소수점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소수점을 뜻한다. 고정소수점은 첫 번째 칸을 부호비트, 그 다음 15칸은 정수부, 16칸은 소수부라고 부른다. 명칭 그대로 부호비트는 실수의 부호를 나타내는 비트 자리로 실수가 음수라면 1을, 양수라면 0을 넣는다. 그리고 정수부에는 실수의 정수 부분을, 소수부에는 실수의 소수부분을 넣는다. 정수부와 소수부의 경계 부분을 소수점의 위치로 생각하고 수를 그대로 넣으면 된다. 숫자들을 넣고 남은 칸들은 모두 0으로 채워진다. 21.25를 예를 들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1.25는 위 설명에서 10101.01로 구한 바 있다. 부호비트: 0 (10101.01이라는 실수는 양수이기 때문이다.) 정수부: 10101 (정수 부분의 수..

캐시 메모리란 캐시 메모리는 CPU의 처리속도와 주기억장치의 접근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 Buffer Memory이다.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는데, CPU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역할이나 성능에 따라서는 CPU밖에 존재할 수도 있다 빠른 CPU의 처리속도와 상대적으로 느린 메인 메모리에서의 속도의 차이를 극복하는 중간 버퍼 역할을 한다. 쉽게 표현하면 CPU는 빠르게 일을 진행하고 있는데,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가져가는데 느려서 중간에 미리 CPU에 전달될 데이터를 들고 서 있는 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 캐시메모리의 특징 - 캐시는 주기억장치와 CPU사이에 위치하며,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 - 캐시 메모리는 메모리 계층 구조에서 가장 빠른..

CPU의 구성요소 연산 장치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오고, 연산 결과를 다시 레지스터로 보낸다. 제어 장치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레지스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감시하고 ALU(연산 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장치 전체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을 통제 지시하는 장치로, 주기억장치에서 적절한 순서로 명령을 꺼내고, 각 명령을 해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기억장치, 연산장치, 입출력장치, 기타 부분으로 적절한 신호를 보내는 장치이다. 기억 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일련의 프로그램 명령을 순차적으로 꺼내 이것을 분석 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령 신호를 주고, 장치 간의 정보 조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레..

컴퓨터 구조란 프로그램의 논리적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시스템의 특성 컴퓨터 구조와 서로 바꿔 쓰는 용어는 명령어 집합(instruction set architecture: ISA) 이 ISA는 명령어 형식, 명령어 연산코드, 레지스터들 명령어 및 데이터 기억장치를 정의해준다. 컴퓨터 조직이란 구조적 구격에서 정의한 사항들을 구현하기 위한 연산 유닛과 상호연결 방식을 말한다. EX) 비트수, I/O방식, 기억장치 주소지정 프로그래머에게 안 보이는 시스템 특성으로서 아키텍처에 비해 하드웨어에 좀 더 가깝다. 기능 1.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 2. 데이터 저장(Data Storage) 컴퓨터는 지나가는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그 과정을 위해서는 컴퓨터는 필요한 데이터를 내부에 일시적으로..